공지사항

함께하여 발전하는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공지사항

  • 홈
  • 홍보·알림
  • 공지사항

제 14회 바다의 날 기념 “현대미술로 풀어보는 등대와 바다이야기”

  • 2009-06-04

첨부파일

    없음

국립등대박물관 2009년 제 14회 바다의 날 기념

“현대미술로 풀어보는 등대와 바다이야기”- Sea & Transformative Reflection-개최

1.전 시 명 : 2009 제 14회 바다의 날 기념 “현대미술로 풀어보는 등대와 바다이야기” - Sea & Transformative Reflection -

 

2.전시목적 : 등대와 바다를 소재 또는 주제로 한 조형작가 조은희, 김연, 김선영의 작품들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해양 문화를 현대예술적 관점에서 감상할 수 있는 자리 마련.

 

3.전시 장소 : 국립등대박물관 기획전시관 기획전시실 1,2  야외전시장

 

4.전시기간 : 2009년 5월 30일부터 2009년 7월 10일까지 (42일간)

 

5.전시내용 : 설치작가 김선영, 김연, 조은희 3인의 16작품

 

포항 호미곶에 위치한 국립등대박물관에서는 5월 30일부터 7월 10일까지 설치작가 3인 초청하여 「“현대미술로 풀어보는 등대와 바다이야기”-Sea & Transformative Reflection- 」이라는 제목의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전시장 전경>

국내 유일의 등대 전문 박물관인 국립등대박물관(관장:이문희)에서는 바다와 관련된 소재를 설치작품으로 표현한 전시물들을 전시함으로써 등대, 바다에 대한 감성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바다사랑 정신을 함양하고자 현대미술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다양한 형태의 설치 작품 16여점을 선보이며 5월 30일 시작하여 7월 10일까지 국립등대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된다. 등대가 바다의 신호등이라는 기계적 역할에서 나아가 인간의 정신적 교류와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로 해석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다는 인간이 ‘성찰, Reflection’의 시간과 공간을 가지도록 자신을 투영할 수 있게 해 준다. 바다의 역할은 인간 삶의 터전이 되기도 하지만, 삶에 지친 인간에게 ‘영적인 고요’를 통해 자아투영과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인간정신교류의 터전이 되어 주기도 한다. 이러한 바다가 보여주는 묘하면서도 놀라운 명상적 효험의 경험에 대한 고찰의 기회를 또한 제공하고자 한다.

 

작가 김선영은 그간 자연, 우주와 관련된 소재를 암시적,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관람자로 하여금 자기반성적 사유의 시간을 갖게 하는 일련의 작업을 하였다. <함께 하는 세상 co-work>작품은 빈 의자들과 배가 띄어진 물이 담긴 테이블이 함께 설치 되는데 여기저기 스크래치가 수반되어 인간의 살색을 띈 빈 의자는 상처 받은 인간의 삶을, 의자들 사이에 놓여진 테이블에는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배가 담겨져 인생이라는 넓은 바다를 해쳐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되돌아 보게 한다.

 

<물가 side water>연작으로 잘 알려진 김연은 물, 빛, 하늘같은 원초적 자연 소재를 개념적이고 초현실적인 방식으로 각색한 뒤 재현한다. 그녀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물’은 시간이 정지된 듯한 한적한 작은 물가로 공간의 경계, 시간의 경계를 허물어 현실을 초월하게 하며 이 순간 관람자는 독립된 본인 주체(identity)를 내면적으로 비추어 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가의 ‘투영’ 작업은 <빛으로의 여행, Voyage to the Light>시리즈 작품들에서는 극대화 되는데 금속으로 제작된 배의 표면은 빛에 의해 반사되어 물 속이 아닌 빛 속을 항해 하는 초현실적 세계로 인도한다. 이는 현실을 초월하여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항해하는 배를 기원한 것일 것이다.

 

작가 조은희는 재료인 종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칼라와 모양의 종이배를 만들고 또 이를 이용하여 뛰어난 독창성으로 먼 바다의 배들이 우리를 일상(예: 신, 곰인형 등)속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주변의 사물들을 되돌아보게 만들어준다.

 

조각에서 미디어까지 다양한 매체를 다루었던 그녀는 회화의 전통적 재료인 종이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직접 접은 배에 집중한다. 어떠한 주제나 형태의 작품이라도 종이배는 전체 작품을 구성하는 일원이 되어 희망으로 반영 되는 매개체가 되어준다. 야외전시장에 선보이는 <희망의 배 DREAM BOAT>는 바람에 일렁이게 될 배들이 색색으로 설치되어 등대의 불빛에 무지개 색으로 변주되어 거친 파도를 헤치고 꿈과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배가 표현 되어 관람자에게 꿈과 희망을 환기시켜 주고있다.

 

이렇게 해양소재로 작업한 세 작가의 설치 작품들은, 바다에서 구원의 손길이 되어주는 등대와 같이 관람자들에게 자신을 되돌아보고 희망과 구원의 손길을 생각하게 하여 바다와 등대를 보며 정신적 휴식과 평안의 공간을 제공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앞으로도 국립등대박물관에서는 해양소재와 타 장르 문화예술분야 매체를 결합한 기획전시 특별전을 개최하여 관람자에게 등대와 관련된 전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해양문화의 감성적 체험기회 증진을 도모할 계획이다.

 

담당: 국립등대박물관 학예연구사 최수연 054-284-4857

 

<김선영 작품>

김선영 함께사는세상3 CO-WORK3 186x38x20cm EPOXY+WATER etc 2005

 

김선영 함께사는세상-등대11 CO-WORK Lighthouse11 30x30x11cm2EA EPOXY+SALTetc 2009

소금을 담은 부조와 입체 작품들은 삶의 길을 인도하는 등대를 이야기한다. 작품 속에 반복되는 유기적인 각각의 형태는 너와 나와 우리들의 몸을 상징하며 그 몸 속에 모두 소금을 담고 있다. 망망대해를 표류하는 배를 위해 안전한 길을 인도하는 등대처럼 소금을 품은 마음들은 갈 곳 몰라 방황하는 이기적인 삶을 비켜 가게 하는 생명의 빛이 될 것이다.

김선영 함께사는세상3 CO-WORK3 145x75x65cm EPOXY+WOOD etc 2006

 

<김연 작품>

김 연 물가 water side 70*15*25*2EA black sand, clear resin 2008

김 연 물가 water side 25*20*70 자연석, clear resin 2009 <물가스케치>

 

김 연 빛으로의 여행 09 Voyage to the Light 09 180*47*55 Stainless steel 2007

 

김 연 빛으로의 여행 09 Voyage to the Light 09 180*47*55 Stainless steel 2007

 

<조은희 작품>

조은희 "Tomorrow will be a new day." 가변설치 mixed media 2008

조은희 선인장 Cactus 15x8cm,h20cmx21EA 석고, 종이, 도료 2009

조은희 얼룩말 Zebra 130x90x6cm 캔버스에 천, 잡지, 데코시트, 레진 2008

조은희 통일을 기다리는 느티나무 Tree of waiting for korean unification Mixed media 2008

조은희 하얀곰돌이 White teddy bear 48x40, h38cm 석고, 종이, 도료 2008

조은희 신데렐라 구두 Cinderella heel 65x22, h39cm 석고, 종이, 도료 2008

조은희 꿈의 배 Dream Boat 가변설치 우레탄폼, 도료, 철사, 바람 2009

요즘 같이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에서 내게 또 한 번 되뇌게 하는 단어, 꿈과 희망!

주어진 환경이나 주변사람들 때문에 미래를 위해서 하고 싶은 일에 도전하지 않은 채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설령 도전을 한다 하더라도 어려움이 생기면 극복하지 못한 채 또 포기해 버린다. 여기 여러 가지 각도에서 꿈을 혹은 희망을 연상케 하는 일상 가까이 접할 수 있는 object들과 고이 접은 종이배로 꿈을 잃어간 채 변색되어 가고 있는 영혼에게 잔잔한 울림을 선물하고자 한다.

-작가노트-

 

< Biography >

 

김 연 / KIM YEON

EDUCATION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및 동 대학원 졸업

 

EXHIBITION

Solo Exhibition

2007 김연_빛 속을 걷다, Parc des expositions Metz, France

2006 김연_빛으로의 여행, 모란갤러리

1999 김연_물가의 시선, 덕원갤러리

Select Group Exhibition

2009

이천국제조각심포지엄 특별전

Nous avons dit OUI / Gallery Daniel Besseiche / Paris

Aesthetic of Materlal_개관기념초대전 / 4Walls Gallery, seoul

Korea Gallery Art Fair / BEXCO / 부산

Un autre paysage / Figure Gallery / paris

As Go On / 바움갤러리

공평 전관 개관기념 초대전 / 공평아트스페이스

Ticktac_Korea Sculpture Exibition / Gallery godo

2008

Albemarle Summer Show / Albemarle Gallery, London

미술이 만난 바다 / 국립현대미술관

2008 북경 올림픽기념 초대전/ DA SHANZI ART CENTER, Beijing

한국 현대조각의 흐름과 단면 / KOSA Space

Changchun International Sculpture Conference / Changchun World Sculpture Park, China

LIQUID LIGHT 기획초대전 / Sesameart Gallery, London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 코엑스 태평양홀

창원 아시아미술제 / 성산아트홀, 창원

여수 국제아트페스티벌 / 여수EXPO조각공원, 여수

한국현대미술초대전 / Square Gallery of Contemporary Art, China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 특별전_물,생명전 / H갤러리, 울산

한국현대조각초대전 / 춘천MBC 호반공원

Singapore Art Fair / Singapore

이전

Art en Capital_Comparaisons 2007, Grand Palais, Paris

International 2006 in New York / HUN Gallery, New York, USA

Seoul Art Fair 특별전-Best Top10展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Agio International Sculptors Symposium / Zimbabwe National Gallery, S.Africa

아시아현대조각초대전 /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온 봄의 Message展 / YINGKO Gallery, TAIPEI, TAIWAN

Freeman Foundation Asian Award, Vermont Studio Center, Johnson, USA

국제조각축전 /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손끝으로 보는 조각전 /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 광주

통일염원야외조각전 / 도라산 역

The 5th International Group Show / Global Culture Center, Osaka, Japan

조각가가 만드는 환경설치전 / 국립극장

용두 국제환경미술제 / 타워갤러리, 부산

조각의 언어로 표현한 자연 / 목암미술관

Youth Festival 2000 야외설치전 / 서울올림픽공원

2000 청년작가 초대전 / 서울시립미술관

한국현대조각초대전 / 춘천 MBC 호반공원, 강원도

아시아현대조각초대전 / Kaohsiung Art Museum, Kaohsiung, Taiwan

 

현재) 국민대학교, 목원대학교, 수원대학교, 국립서울맹학교 강사

 

김선영 / KIM SUN YOUNG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졸업

현 재

한국미술협회, 한국여류조각회, 이화조각회, 너와전,

아시아현대조각회 회원

수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강사

 

개인전

2005 'CO-WORK' (노화랑, 서울)

2003 'NET' (관훈갤러리, 서울)

2002 '어머니의 이야기’- Accent on Art (Art & Life, 서울)

1999 'VOICE-FREEDOM' (삼정아트스페이스, 서울)

 

주요 그룹기획 초대전

2005 30주년 기념 특별전 - 여류조각전 (시립미술관, 서울)

코리아아트페스티벌 (세종문화회관, 서울)

2004 아시아현대조각 초대전 (홍익대학교, 서울)

라메르 기획초대 이화조각전 - 'DATA BASE' (갤러리라메르, 서울)

2003 아시아현대조각 초대전(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일본)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MBC 문화방송, 춘천)

2002 한국현대조각 초대전 (MBC 문화방송, 춘천)

2001 세계도자기 엑스포 기념초대 - ‘오늘의 작가 기수전’ (엑스포행사장, 이천)

세계평화예술제-'SEOUL PEACE' (전쟁기념관,서울)

2000 새천년 대한민국 희망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1세기를 여는 지성과 감성전 (예술의 전당, 서울)

국립극장 50주년 기념 특별전 (국립극장, 서울)

1999 아시아현대조각 초대전 (카오슝시립미술관, 대만)

의식의 확산전 (일민미술관, 서울)

1995 미술의 해 우수작가전 (단성갤러리, 서울)

조각 5인전 (종로갤러리, 서울)

1994 54인의 조형 이념과 표현전 (코스모스갤러리, 서울)

1991 제11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94- 이화조각전

1996- 여류조각전

2001- 너와 조각전

 

작품소장

전북 군산시 조존동 현대아파트

SOMA KOREA 강남병원

명선교회

 

강의 경력

2000 부산외국어대학교

2001-03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조소과

2003-04 대진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조 은 희 / cho eun-hee

조은희 Cho Eun Hee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및 이태리 밀라노 브레라 국립미술원 조각전공 졸업

개인전

2008 샘터갤러리 기획 조은희개인전 "Across by boat"

2007 Across by boat, 창원 본갤러리

2006 GALERIA JORGE SHIRLEY Ocean전, 리스본, 포루투갈

2005 송은갤러리 기획초대 돈돈돈전/ MANIF 11! 05, 한가람미술관

2004 대구예술마당솔 기획초대전/ 부산열린화랑 초대전/ 관훈갤러리, 숲갤러리 초대전

2001 대안공간 Pianissimo, 밀라노, 이탈리아

2000 Famiglia Artistica Milanese 갤러리, 밀라노, 이탈리아

1999 대안공간 Pianissimo, 로디, 이탈리아

 

단체전

2009 특별기획전 “Memories”, 김재선갤러리 서울,

2008 한국조각가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KIAF, Krampf Gallery(USA), KOEX 태평양홀,

가족을 담다전, GS갤러리,

기획초대 Collection전, 진선갤러리

2007 기획공모당선단체전 Site & Sight전, SP 갤러리,

만남-자연과 사람전, 포천아시아비엔날레특별전시관, 포천,

헤이리판페스티벌 숨은조각찾기전, 헤이리아트벨리,

기획초대 종이물결전, 진선갤러리,

NAFF2007, 기타큐슈시 서일본종합전시장, 일본,

쌈지아트마트 II전, 쌈지길갤러리

2006 ARTE LISBOA 2006, Galeria Jorge Shirley, 리스본,

미술과 놀이-펀스터즈,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BOX IN BUSANSTATION, 부산역,

2005 제11회 신진작가발언전, 토포하우스,

가상의 딸-가족 상상의 공동체, 쌈지길갤러리,

송은미술대상전, 한가람미술관,

인턴기획전 PARTY, 성곡미술관

그 외 국내외 다 수의 단체전 참가

cho70@hotmail.com

010-8252-0719